-
[210923] 1일 1재테크 일기 : 여성 2인가구 생활 책을 보고 시작돈맹탈출을위해 2021. 9. 23. 21:46
https://bookcontdesign.tistory.com/15
[책추천] 건강한 비혼의 삶 : 여성 2인 가구 생활
비혼의 삶을 사는 두 여성의 이야기. 처음 함께 살게된 이야기부터 건강한 비혼의 삶을 살기위한 재테크, 자기관리까지 자연스럽게 이야기가 이어진다. 나는 어릴때부터 결혼 안할거야 라는 말
bookcontdesign.tistory.com
위 책을 보고 나도 하루에 한 번 재테크 일기를 써봐야지 하고 마음먹었다.
너무 재테크 초보라 아는게 많이 없어 쓰는게 망설여졌지만
공부와 기록의 용도라고 생각하고 조금 마음편하게(?) 써보기로 했다.
눈에 들어온 경제기사.
01. “美 이르면 내년 금리인상 가능+테이퍼링 곧 시작”···9월 FOMC 총정리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3964850?sid=101
“美 이르면 내년 금리인상 가능+테이퍼링 곧 시작”···9월 FOMC 총정리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
[서울경제] 22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이르면 내년 금리인상이 가능하며 그에 앞서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이 곧 시작될 수 있다는 신호에도 모두 상승했습니다. 다우와 스
n.news.naver.com
9월 FOMC에서 알아야 할 6가지.
① 점도표 상 18명 가운데 9명 2022년 금리인상 전망(6월엔 7명)
② 테이퍼링 곧 시작 가능. 내년 중반께 종료. 구체적 개시 시점과 속도는 논의 필요
③ 근원 PCE 전망치 3.0%(6월)→3.7%(9월) 대폭 인상
④ 델타변이 공급난에 경제성장률 7.0%→5.9%. 실업률 4.5%→4.8%
⑤ 헝다 사태, 미국이나 중국 은행에 영향 제한적
⑥ 고용, 실질적인 추가 진전 조건 충족* FOMC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산하에서 공개시장 조작에 관한 정책을 담당하는 위원회이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매월 공개시장조작에 대하여 정책보고서를 발표한다. 통화량의 추이에 따라 공개시장조작 정책을 정하고,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융정책을 제시한다.
기사 내 알아야할 점을 정리해주신게 좋았다. 나같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공부하며 뉴스를 읽을 수 있어서 좋았던 기사. 기자님 구독을 해놓았다.
02. '6대 규제완화' 오세훈표 민간 재개발 공모 시작…빌라 시장 '들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4972930?sid=101
'6대 규제완화' 오세훈표 민간 재개발 공모 시작…빌라 시장 '들썩'
주거정비지수제 폐지·신속통합기획 도입을 골자로 한 오세훈표 민간 재개발 공모가 23일부터 본격화하며 서울시내 노후 주택가가 들썩이고 있다. 12월 중 후보지 25곳이 선정될 예정인 가운데
n.news.naver.com
여러 이유로 빌라 매매에 관심이 많아서 눈에 띄었던 기사.
03. 8년만에 전기료 인상
https://m.mk.co.kr/news/economy/view/2021/09/910378/
8년만에 전기료 인상
내달 4인가구 月1050원 올라
www.mk.co.kr
그러나 이번 인상이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번에 올린 요금은 kwh(킬로와트시)당 3원에 불과하지만 실제로는 연료비 폭등으로 10.8원의 인상 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간 탈원전 정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LNG) 등 대체에너지 가격 폭등과 함께 앞으로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해야 하는 상황도 이 같은 전망에 무게감이 실리는 이유다.
-
전기료 인상을 시작으로 물가가 오르지 않을까. 그럼 난 어떤 대비를 해야하는걸까.
04. 한은 "헝다사태, 금융시장 변동성 키울수도"
https://m.mk.co.kr/news/economy/view/2021/09/910360/
한은 "헝다사태, 금융시장 변동성 키울수도"
재정·금융당국 긴급 상황점검
www.mk.co.kr
이 부총재는 "헝다그룹 위기는 국제 금융시장의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가 우세하다"면서도 "부동산 부채 누증 문제가 현실화한 것인 만큼 사태 전개 상황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 한은 : 한국은행, 대한민국의 중앙 은행
05. '美 테이퍼링+中 헝다 리스크↑' 원달러 환율 1185원 돌파…1년來 최고
https://m.mk.co.kr/news/economy/view/2021/09/908548/
`美 테이퍼링+中 헝다 리스크↑` 원달러 환율 1185원 돌파…1년來 최고
원·달러환율이 중국 헝다그룹 파산 우려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기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시행 가능성 등이 반영, 1180원대를 넘어섰다. 이는 장중 고가 기준으로 지난해 9월14일(1187
www.mk.co.kr
원·달러환율이 중국 헝다그룹 파산 우려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기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시행 가능성 등이 반영, 1180원대를 넘어섰다. 이는 장중 고가 기준으로 지난해 9월14일(1187.5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전 10시 37분 현재 118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175.0원)보다 8원 오른 1183.0원에 개장했다.
이와 관련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국내 외환시장 휴장 동안 중국 헝다그룹 디폴트 우려 등으로 강달러 압력을 반영해 원화는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중략)
부동산 관련 부채누증 문제가 현실화하고 있는 만큼 이 사태의 전개상황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소지가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시장 예상과 대체로 부합했지만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종료 시점이 앞당겨지는 등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늘의 눈에 들어온 경제이슈는 1. 9월 FOMC(테이퍼링) 2. 헝다사태 3. 전기요금 인상
코스피 3,127.58 -0.41% 하락
코스닥 1,036.26 -0.94% 하락
오늘의 지출
점심식비 : 3,400원
'돈맹탈출을위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925] 1일 1 재테크 일기 (0) 2021.09.26 [1일 1재테크 일기] 210925 (9) 2021.09.25 [재테크/책추천] 세이노의 가르침 : 차근차근, 천천히 (0) 2021.09.16 [앱테크/짠테크] 포인트를 모아 금을 살 수 있는 어플 : 무료로 할 수 있는 소액 금투자 센골드 (0) 2021.09.15 주식 초보들을 위한 아주아주 기초적인 내용 정리 : 듣똑라 유튜브 '주식 처음이라면 이 영상부터 보세요.' 요약 (0) 2021.09.10